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

병원은 왜 그곳에 있을까? 건물을 [왜] 지었는 가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지을려고 하는 건물의 목표는 대부분 명확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건물을 [왜 그곳에] 지었는가 하는 부분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입지를 하기 위한 조건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달라지거나 같은 조건이라도 그 중요도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이는 병원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날 병원의 입지조건은 일반적으로 보다 많은 환자를 받아들이는 것에 있습니다. 의학도 자본주의 앞에서는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유동인구수, 예상환자수, 교통, 자본등을 중요시여깁니다. 그렇다면 옛날에는 어땠을까요? 환자를 단체로 수용하는, 그러니깐 병원이라고 불릴 만한 곳은 종교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중세 교회는 순례자, 여행자들이 쉬다 갈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였는데 이 장소에서 자선사업으로 아.. 2017. 6. 8.
2017 무주산골영화제 감상영화 결산 - 1 2017 무주산골영화제 감상영화 결산 - 1 [ 6월 3일 ] 1. 네루다(Neruda), 2016- 감독 : 파블로 라라인(Pablo Larrain), 칠레 칠레의 정치가이자 시인이었던 파블로 네루다에 관한 영화이다. 네루다가 칠레정권에 어떻게 저항했고 칠레를 탈출하는지에 관한 내용을 다뤘다. 그러나 평범한 전기물이 아니라 약간 복잡하고 특이한 형식의 추적스릴러물인 영화이다. 영화를 보는 내내 뭔가 이상한 느낌을 지울 수 없던 것이 마지막에 가서 해소된다. 주인공이 주인공인듯 주인공이 아닌 영화. 잘짜여진 각본과 감독의 뛰어난 역량을 보여준 영화였다. 사람에 따라 조금은 지루할 수 있다. 참고로 이미 파블로 네루다가 나오는 유명한 영화가 있다. 바로 . 개인평점 : 8점 / 10점 2. 튼튼이의모험(L.. 2017. 6. 7.
어떤 사고 10대후반의 어린환자가 어머니와 함께 응급실로 들어왔다. "어디가 불편해서 오셨죠?" "몸살이 심해서요. 열도 나고 목도 좀 아프구요." 흔한 감기 환자일 가능성이 높았다. 상기도 감염을 고려하며 증상에 대해 하나씩 물어보기 시작했다. "언제부터 불편하셨죠?" "이틀전부터요" "기침이나 콧물, 가래는 있나요?" "그런건 없어요." 차근차근 질문을 이어갔다. 마지막으로 질문하지 못한 다른 불편한 점은 없는지 물어보았다. "왼쪽 팔에 두드러기가 좀 심했어요. 많이 붓고 빨개지고 그랬거든요." 응? 웬 두드러기? 다시 해당 증상에 대해 묻기 시작했다. 그리고 답을 듣는 순간 느낌이 좋지 않았다. 두드러기는 3주전부터 있었다. 3주전 친구들이 놀러왔길래 환자의 어머니가 밖에서 놀라고 용돈을 줬고, 그 용돈으로 .. 2017. 6. 2.
어떤 의사의 잃어버린 명예 어떤 의사를 한명 소개할까 합니다. 그는 훌륭한 내과의사임과 동시에 건축가이기도 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름만 들으면 알만한 건축물을 설계하고 완공하였죠. 의사들은 보통 자신의 학문인 의학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끔 국회의원, 대통령 후보등 다양한 정치,사회활동을 하는 의사도 존재하지만 그럴 경우 의학은 잠시 손을 놓고 떠나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그는 그러지 않았고 모든 일을 도맡아서 하였기에 당시 민중들은 그를 매우 존경했고 따랐습니다. 평범하게 태어났으나 당시 지도자는 그를 불러들여 총리를 맡기는데 그또한 훌륭하게 실행하는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황무지를 개간하여 농토로 만들었고, 치수를 하여 저수지를 만들기도 합니다. 지도자에게 적절한 조언을 해주는 지혜가 있었고, 자신이 .. 2017. 5. 17.
소아마비 정복사 (하) - 백신전쟁, 소크 vs. 세이빈 [의학] 소아마비 정복사 (상) - 전염병의 유행 http://vitaminjun.tistory.com/89 …에서 이어집니다. [ Jonas Salk ] vs.[ Albert Sabin ] 분류작업이 끝나자 조나스 소크(Jonas Salk) 박사는 자신이 1947년부터 부임하였던 피츠버그대학 연구소에서 소아마비 백신개발에 집중합니다. 그는 생백신이라는 고전적인 방식이 아닌 [사백신]이라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과거 독감백신을 연구하면서 사백신도 충분히 효과가 있음을 알았던 겁니다. 게다가 사백신이 가지는 큰 장점이 있었습니다. 바이러스를 약독화시켜 투여하는 방식인 생백신의 경우 [약독화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복용한 사람에게 오히려 [소아마비를 발생시키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판단한 겁니다. 이.. 2017. 5. 13.
소아마비 정복사 (상) - 전염병의 유행 18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산업혁명이 일어났고 이로인해 인류는 급격히 늘어납니다. 사람들은 필요에 의해 각자 살고 있는 지역을 떠나 도시로 몰려들었습니다. 한정된 지역으로 사람들은 몰려들었고, 위생은 관리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차근차근 전염병을 위한 무대가 마련되어 갔습니다. 소아마비는 아주 오래전부터 인류와 함께 했습니다. 고대의 벽화나 문헌을 보면 소아마비 환자로 추측되는 기록을 볼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상당한 수는 아니었습니다. 게다가 소아마비가 유행했던 적은 한번도 없었죠. 1840년 독일의 의사였던 하이네(Jakob von Heine)는 특이한 질환을 보게됩니다. 아이들에게 열이나고 난 다음 사지가 마비되는 마비성 질환이었습니다. 그는 이런 환자들의 정보를 모아 정리하였고 [소아 척수마.. 2017.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