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학분야/통증의학

근막통증증후군

by vitaminjun.md 2016. 5. 22.

 

0. 개요

근막통증증후군은 근막통증유발점(Myofascial trigger point)에 의하여 생기는 감각, 운동, 자율신경 증상으로 증상을 일으키는 특정 근육, 또는 근육군이 항상 확인된다. 근막통증증후군을 이야기 하기전에 통증에 대해서 잠시 알아보자.

 

 

1. 통증의 정의

국제통증학회(IASP: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of Pain)에서는

통증이란 [실질적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이나 이러한 손상에 의한 것으로 표현되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유쾌한 경험]이라고 정의 내렸다.

 

 

2. 만성통증에 대한 정의

국제통증학회 유럽지부에서는

통증을 유발하는 [급성 질환의 일반적인 경과나 치유기간이 지나도록 낫지 않고 지속되는 통증]을 만성통증의 정의라고 내렸다.

 

 

3. 만성통증을 유발하는 흔한 조건

골관절염

류마토이드 관절염

허리, 어깨, 목의 통증

편두통을 포함한 두통

암의 통증

근막통증증후군

Post-thoracotomy pain

Chronic regional pain syndromes

Stump and phantom limb pain

Neuropathic pain

대상포진 및 포진후 신경통

삼차신경통

당뇨병성 신경증

측두하악골장애(TMJ)

유방절제후 통증

협심증

등등

 

 

4. 근막통증유발점의 정의

국소부위의 통증이 있는 주변 근육의 단단한 밴드(Taut band)와 같은 변성이나 경직이 있는 부위를 손으로 압박할 때 통증이 발생하는 압통점으로서 압박한 곳 주변이나 멀리 떨어진 부위에 통증이 발현되는 연관통(Referred pain)이 특징적으로 있고 운동신경이상이나 자율신경 증상을 동반한다.

위치에 따라 Attachment Trigger Point (근육과 건의 경계부, 또는 건의 골부착부)Central TrP (근육의 중간부근),

평소에 환자가 느끼는 증상과 연관된 것인가 여부에 따라 Active TrPLatent TrP로 구분한다.

 

 

5. 근막통증유발점의 임상상

1) 증상

과거력상 최근 또는 만성적인 과도한 근육의 사용에 의한 통증.

근육의 일부가 띠처럼 만져짐.

점프 사인 : 환자가 통증유발점을 눌렸을 때 보이는 반응, 움츠리거나 비명을 지름.

LTR (Local Twitch Response) : 손가락으로 TrProlling 하거나 Needle injection할 때 나타나는 반응, Spinal level reflex mechanism.

Active TrP를 눌렀을 때 환자가 평소에 느끼는 통증과 유사한 통증이 재현됨(5초 이상 누름).

통증유발점이 있는 근육의 운동범위는 보통 제한되고 근력도 약화됨.

자율신경증상 : 과도 또는 과소 발한, 비정상 pilomotor activity

⑧ Proprioceptive disturbances : 불균형, 어지럼증, 이명

⑨ 수면장애

 

2) 통증유발점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

Acute overload

Overwork - fatigue (Including postural stress)

Chilling

Gross trauma

Other trigger points

Emotional distress

Joint or nerve damage

Visceral disturbance

 

3) 이학적 소견

Taut band

Tender nodule

Recognition : 평소 환자가 느끼는 것과 같거나 유사한 통증 패턴

Local twitch response

Limited range of motion

Painful contraction

Weakness

 

4) 검사

Needle electromyography

Ultrasound imaging: visualization of LTR

Surface electromyography

Algometry

Thermography

 

5) 치료 평가를 위한 통증의 Assessment Tools

Subjective

Visual Analogue Scale (VAS)

McGill Pain Questionnaire

Pain Diagram

Objective

Pressure Threshold Algometry

Differential Local Anesthetic Blocks

Thermography

EMG etc.

 

 

6. 근막통증유발점 주사

1) Procaine

국소 마취제 중 가장 myotoxic하지 않다. 마취 효과는 1% 리도케인이 40분 지속하는데 비해 1% procaine19분 지속한다.

 

2) Dry Needling

CummingsWhite가 리뷰한 바에 의하면 dry needlinglidocaine 또는 steroid 등의 단독 또는 혼합 주사와 비교하여 효과에 차이가 없었다. 다만 치료후 치료부위의 국소 통증이 좀더 심하였다. LTR가 있는 경우에만 dry needling이나 국소 마취제 주사가 효과가 있다.

 

3) Botulinum Toxin A

자발적인 endplate potentialTrPs와 관련이 많으므로 endplate부위에 BTA를 주사하여 Ach 분비를 억제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

 

4) 주사 후 처치

스트레칭 : 주사 한 근육의 Full range of motion 3회를 시행한다.